https://geo-viajante.tistory.com/824?category=896216
* 피터스(R.S.Peters): 교육의 목적은 교육 그 자체라고 주장함. 인간이란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배워 나가는 과정 속에 있는 존재. 공부할 대상 가운데에서 가장 고귀한 것이 학문이라고 생각함. 순수 학문 공부를 주장함(코메니우스 전통과 연결)
- 행동주의와는 달리 인간만의 고유한 특성인 인식(사고와 인지) 과정을 탐구하고자 함.
- 아동 인지발달단계를 연구하여 인지심리학의 선구적 업적을 제시함. 아이와 어른의 인지 구조의 차이를 주목함.
- 학습의 메커니즘을 인지 구조(스키마)가 평형을 이루기 위한 과정으로 설명함.
- '동화'(새로운 정보가 인지 구조에서 여과되면서 기억과 망각이 발생하는 과정)와 '조절'(인지구조가 새로운 정보에 적응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을 때 기존의 인지 구조를 폐기하고 새로운 인지 구조를 창출하는 과정)
- 성인과 아동은 인지 구조의 질적 차이가 있다고 생각함 → 인지 구조의 질적 차이는 '조작 능력'의 여부에 따라 다름
▶ '조작'이란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에 대한 논리적 사고
- 전조작기(논리적 사고가 정립되기 이전의 상태) - 구체적 조작기(논리적 사고가 발달하기 시작하여 귀납적 사고는 할 수 있지만, 추상화 능력은 결여된 수준) - 형식적 조작기(추상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수준)의 세 단계로 구분.
- '공간 인지'가 지리와 수학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세계와 자연을 이해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하여 '공간 인지발달 단계론'도 제시함.
- 우리가 사용하는 지도는 '유클리드 기하학'을 전제로 작성된 것 → 유클리드 기하학은 절대적 공간의 좌표를 통해 제3자의 시점에서 객관적으로 공간을 파악하는 관점. ▶ 유클리드 기하학을 이해하려면 인지 구조가 상당히 발달해 있어야 함.
1단계) 위상학적 단계: 점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는 기하학 분야를 위상기하학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착안하여 아동들이 그린 지도에 나타난 특징이 이와 유사하다고 판단하여 붙인 단계의 이름. 자기중심성이 나타남.
ex) 7세 이전의 아동들이 동네 지도를 그릴 때 아이콘으로 표현하는 것(기호, 범례, 축적, 방위 등을 고려하지 못함)
2단계) 투영적 단계: 시점이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은, 조망적 관점이 발달하지 않은 특징을 보임. → 공중이라는 입체적 차원을 표현하려는 노력. 하지만 표현 방법을 모르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점을 보임. ▶ 지도 투영법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과 유사하기 때문에 '투영적 단계'라고 부름.
3단계) 유클리드 단계: 유클리드 기하학을 이해하고 있는 단계. 추상적 좌표 체계와 위계적으로 통합된 지도로 정확하고 상세함. 범례를 작성하며 방향, 방위, 거리, 형태, 크기, 축척 등이 대체로 정확해짐.
* 브루너: 영어권에서 인지심리학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체계를 정립한 사람.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지 구조의 차이를 연구.
지리교육의 3대 전통 중 '지역지리 교육' 전통에 대해서(ft.사민필지) (0) | 2022.09.08 |
---|---|
더 깊은 앎을 통해,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세상을 향하여, 권정화 교수님의 "지리교육학 강의 노트" Review💌(ft.지리교육의 3대 전통) (0) | 2022.09.06 |
'물고기를 포기하면 무엇을 얻게 될까?', 룰루 밀러의 "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"(ft.데이비드 스타 조던)(ft.독서메모)🍭 (0) | 2022.07.02 |
불공정 못 참는 한국의 민낯을 보여주는, 박권일 님의 "한국의 능력주의" 독서 후기 (0) | 2022.06.27 |
세계를 움직이는 지리에 관한 지정학적인 통찰력, 팀 마샬의 '지리의 힘' (0) | 2021.11.05 |